Select a branch
home_work
Fill out this field
Check In
event
Fill out this field
Check Out
event
Fill out this field
Adults
people
Fill out this field

ATTRATIONS

주변 관광명소

쉔장스

본관으로부터 약 1.5km 떨어져 있으며, 차로 약 4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르웨촌에서 호수 순환도로를 따라 서쪽으로 계속 가면 약 4.8km 지점에 쉔장스가 있습니다. 쉔장스는 당나라 양식을 본뜬 건축물로 푸른 기와에 주황색 기둥으로 소박하고 꾸밈이 없으며, 환경이 고요하고 우아하여 중국 정원의 온화하고 점잖으며 대범한 도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쪽으로는 르웨탄에 인접하고 뒤쪽으로는 칭롱산에 기대어 있어 풍수지리사들은 이 절을 「청룡이 여의주를 품은」 명당이라고 부르며, 현장대사의 정골사리를 모시기에 최적의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장법사 문물 기념관은 103년 3월 28일부터 참배가 개방되었습니다.

츠언탑

본관으로부터 약 7.8km 떨어져 있으며, 차로 약 15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사바란산(얼룡산)에 위치한 사원으로, 선총통 장공이 어머니 왕타이부인을 기리기 위해 건설하였습니다. 츠언탑은 높이 약 46m로, 탑 건설 시 모든 건축 재료는 배로 르웨탄을 거치고 공중 삭도를 이용하여 사바란산(얼룡산)으로 운반되었으며, 과정이 매우 험난했습니다. 츠언탑의 탑 꼭대기는 해발 1,000m로, 최고층에서 라루도 방향을 바라보면 라루도와 쉔장스가 동일선상에 위치해 있어 이 선을 “행복의 연결선”이라고도 부릅니다, 이 지형은 마치 용의 머리가 호수로 들어가서 물을 마시는 것처럼 보이며, 라루도는 물을 마시는 지점에 위치하고, 쉔장스는 용의 머리, 츠언탑은 용의 심장 부분에 자리 잡고 있는 매우 독특한 지형입니다.

원우먀오

일제시대 르웨탄에는 원래 수이서촌의 롱펑궁과 원래 부지촌(오늘날의 르웨촌)인 이화당을 포함해서 두 개의 사당이 있었으나, 나중에 일본인들이 발전소를 세우는 공사로 인해 르웨탄의 수위가 상승하면서 사당 두 개를 이전해야 했습니다. 전력 주식회사는 두 사당의 자산을 인수하였고, 이를 통해 받은 자금으로 사당을 합병해 세울 장소를 선택, 1934년 르웨탄 북쪽 호숫가 송보룬에 사당을 재건하여 1938년 이전하였습니다.

1969년 다시 중국 북조식 건물로 재건된 원우먀오는 웅장한 규모에 위엄이 넘칩니다; 사당은 3개 전으로 나뉩니다, 전전(前殿) 2층은 쉐이윈궁으로 개기원조 및 원창제군을 모시고 있으며, 중전(中殿) 우성전은 관성제군 및 악무목왕을 모시고 있습니다. 후전(後殿) 다청전은 지성선사 공자 등을 모시고 있어, 유교, 불교, 도교의 신이 한 곳에서 모셔져 있습니다.

원우먀오의 다청전은 대만에서 유일하게 중문을 여는 공묘입니다. 사당 측은 르웨탄가에 세워진 원우먀오는 평소 여행객이 많기 때문에, 여행객이 편리하게 드나들게 하기 위해 중문을 여는 것이며 특별한 의도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다청전에는 대만에서 유일하게 성상을 모시는 공묘로서 청동으로 주조한 공자 좌상이 있으며, 공자의 성상 이외에도 맹자 및 자사자를 모시고 있고, 이 신상 3존은 원래 중국에서 모시던 것이었으나, 청나라 말기 의화단의 난 당시 여러 손을 거쳐 일본의 사야마 후도사로 전해진 후 복제를 거쳐 원우먀오로 이전된 것입니다, 안자와 증자의 신상은 그 후대가 자금을 모아 만든 신상으로 공자를 항상 곁에서 섬기고 있습니다.

원우먀오를 방문할 때, 사당 앞 광장 양쪽에 있는 거대한 주홍색 사자상은 관광객들의 관심사 중 하나입니다. 두 마리의 사자상은 신광 그룹의 창립자인 우훠스가 기증한 것으로, 지역 주민들은 이 사자상을 「우훠스」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원우먀오는 뒤로 산이 감싸고 호수를 바라보며 웅장한 지형과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며 주변 주민들의 신앙의 중심이며, 사당 내 향은 끊임없이 타오릅니다; 후전 전망대에 올라가면 르웨탄을 멀리서 바라볼 수 있으며 시야가 넓어서 천하를 안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자료 출처: 르웨탄 관광 여행 웹사이트)

쉔광스

본관으로부터 약 6.7km 떨어져 있으며, 차로 약 14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중일전쟁 기간에 일본인이 난징에서 현장법사의 정골사리를 가져왔고, 전쟁이 끝난 후에 중화민국 불교협회에 돌려준 정골사리의 일부를 1955년 대만으로 모셔 와 1958년 르웨탄가의 쉔광스에 모셨습니다.

쉔광스는 호수에서 10여 미터 거리에 있으며, 사찰 아래에 선착장이 있어, 여행객들은 선착장까지 유람선을 탄 후 계단을 올라가 참관할 수 있습니다; 사찰에서 모시고 있는 현장대사의 황금빛 불상 위에는 「민족종사」라는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비록 현장대사의 정골사리는 이미 쉔장스로 옮겨졌지만, 편리한 수상 교통으로 인해 쉔광스는 이미 관광객들이 르웨탄에 오면 반드시 방문해야 할 명소가 되었습니다.

당나라 시대의 건축 양식인 쉔광스는 당시 임시로 현장법사의 정골사리를 안치한 것이기 때문에, 푸른 기와와 주황색 기둥이 비치지 않아 소박하고 청아하게 운치가 있지만, 오히려 지난 일을 곰곰이 생각하게 만드는 정감이 느껴집니다; 또한 호수 근처에 세워졌기 때문에, 마치 한 폭의 아름다운 그림 속에 있는 듯 르웨탄의 푸른 물결을 가까이에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사찰 앞에는 각각 「르웨담」과 「쉔광스」라고 새겨진 큰 바위가 있으며, 관광객들이 「이곳에 방문했다」라고 인증을 남기는 인기 있는 명소입니다. 특히 휴일에는 사진을 찍으려고 대기하는 사람들의 줄이 종종 작은 사원을 여러 바퀴 돌며 또 다른 재미있는 장면을 만들어 냅니다.

(자료 출처: 르웨탄 관광 여행 웹사이트)

샹산 행정 및 여행객 센터

본관으로부터 약 12.4km 떨어져 있으며, 차로 약 24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2003년 관광국에서 개최한 “지경 시리즈” 프로젝트에서 르웨탄 샹산지구가 계획하고 입상한 작품으로, 르웨탄 호수와 협만의 지형에 깊이 파고들어 건물과 자연환경이 공생하며, 여행객 센터와 풍경 구역 두 가지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구족(져우쭈)문화촌

본관으로부터 약 9.4km 떨어져 있으며, 차로 약 19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구족문화촌은 난터우현 위츠향 다린촌에 위치하며, 약 62헥타르 면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내외로 유명한 르웨탄에 인접하여 르웨탄 풍경구와 다른 명소를 자유롭게 즐길 수 있습니다; 구족문화촌 내부에는 다양한 계획이 구성되어 있어, 연극, 전통춤과 노래 공연 등 문화관광과 오락, 교육을 결합한 다양한 관광 명소를 제공합니다, 구족문화촌은 산지문화촌을 주요 테마로 삼으며, 최신 놀이 시설도 제공하여 관광객들은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라루도

본관으로부터 약 6.8km 떨어져 있으며, 차로 약 14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르웨탄 중앙에 위치한 라루도는 원래 사오족(邵族) 조상신의 성지로, 지진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현(縣) 정부는 라루도를 개발하고 재건하여, 사오족 문화와 예술을 융합하여 그 영광을 재현하고 있습니다.

르웨탄에 위치한 이 작은 섬은 광화도(光華島)로 불리기 전에, 다양한 시대와 배경에서 다른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일본인은 이를 「위다오」라고 부르고; 호숫가의 민적(閩籍) 한인은 「주자이산」; 청나라 말기 외국인들은「pearl island」; 청나라 문헌에서는「주위」,「주산」,「주자이산」등과 같은 다양한 명칭을 사용했으며, 주(珠)나 위(玉)이라는 말을 사용했으며; 산(山), 위(嶼)나 다오(島)라는 단어로 부르든 모두 모양과 정경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르웨탄의 원주인 사오족은 「라루」로 부르며, 초기 사오족의 원시 모사(母社) 「수이서」의 근원지로, 「라루」의 발음은 사오어로 「정확하고 틀림없다」는 뜻이며, 라루섬이 사오족 역사에서 주류에 속하며 숭고한 위상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라루도는 현재 여전히 그 신성성과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고, 사오족은 그들의 최고 조상신이 라루에 거주하고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전통에 의하면 「선생 어머니」(사오족인들의 전통적인 제사장에 대한 칭호)가 되고자 하는 부녀자는 반드시 경력이 풍부한 선생 어머니의 인솔 아래, 함께 배를 타고 라루도에 와서 최고 조상신의 계시를 느껴야 하며, 허락받아야만 정식 입문할 수 있다고 여겨졌습니다.

Menu